LAN과 독립해서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인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저장장치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인 서버는 분산되어 있으며, 저장장치라고 할 수 있는 SAN은 중앙에 집중되어 있다.
아주 쉬운 예를 들어,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물론 이것은 LAN을 통한 파일 공유와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으며, 파일 단위의 데이터 전송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두 그림을 비교하여 보면, SAN은 기존의 파일 서버 기반의 환경과 비교하여 저장장치에 부하를 줄여줄 수 있으며, 여러 작업이 하나의 서버나 저장장치에 집중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의 추가와 삭제가 쉬우며, 저장장치간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광섬유를 이용한 인터페이스인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 10Km 정도의 장거리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RAID 구축시 안정적이고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SAN은 파이버 채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저장장치의 네트워크로 기존의 네트워크에서의 서버는 모든 데이터가 파일 단위로 이루어지는 반면, SAN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블럭 단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써 SAN이 기존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방식에 비해, 보다 높은 효율을 제공하며,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 페이지에서 다룰 NAS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NAS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버헤드(Overhead)가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SAN은 현재 상당히 각광받고 있는 신기술이다. 비록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니지만 앞으로 상당히 많은 발전을 할 분야로 판단되며, 많은 기업들이 SAN 솔루션을 도입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SAN의 활용 분야이다.
방송국: 오디오나 비디오, CATV 등의 영상 및 음성 편집 환경에서 SAN은 동시에 여러 곳에서 데이터에 편집이 가능하므로 편집 시간의 단축과 관리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출판 및 그래픽 편집: 작업의 결과물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 가능하므로 편집 시간의 단축과 즉각적인 수정이 가능하다.
슈퍼컴퓨터: 수 천기가 바이트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슈퍼 컴퓨터 환경에서 SAN은 필수적인 저장장치 솔루션이다.
클러스터링, 연구기관의 전산 시스템: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데이터의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위해 많은 곳에서 SAN을 도입하고 있다.
'Computer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CSI - 위키피디아 정의 (0) | 2007.12.24 |
---|---|
SAS - 위키피디아 정의 (0) | 2007.12.24 |
[스크랩] 파이버 채널과 iSCSI SAN기술 비교 (0) | 2007.12.17 |
[스크랩] ELF 란 (0) | 2007.12.10 |
JBoss 탐험기: JBoss 소개와 설치 (0) | 2007.12.05 |